[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1451008 네트워크 침해 공격 (사회공학, 다크데이터 ...)

Ben의 프로그램 2023. 9. 17. 21:48
728x90

핵심 Keyword

1. 사회공학

2. 다크데이터

3. 네트워크 침해 공격 방법들


사회공학 Social Engineering
사회공학 은 컴퓨터 보안에 있어서, 인간 상호 작용의 깊은 신뢰를 바탕으로 사람들을 속여 정상 보안 절차를 깨트리기 위한 비기술적 시스템 침입 수단을 의미한다. 담당자와 신뢰를 쌓아서 그 사람의 권한을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사람은 매일 확인하는 정보이기 때문에 보안을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런 허점을 이용해서 시스템의 권한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사회공학의 예시 ->
1) 스피어 피싱 Spear Phising
: 사회 공학의 한 기법으로, 특정 대상을 선정한 후 그 대상에게 일반적인 이메일로 위장한 메일을 지속적으로 발송하여, 발송 메일의 본문 링크나 첨부된 파일을 클릭하도록 유도해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탈취함 

 

다크데이터 Dark Data
다크데이터 는 특정 목적을 가지고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나, 이후에는 활용되지 않고 저장만 되어 있는 대량의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미래에 사용될 가능성을 고려하여 저장 공간에서 삭제되지 않고 보관되어 있으나, 이는 저장공간의 낭비 뿐만 아니라 보안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다. 

 

세션 하이재킹 Session Hijacking
상호 인증 과정을 거친 후 접속해 있는 서버와 서로 접속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사이의 세션 정보를 가로채는 공격 기법으로, 접속을 위한 인증 정보 없이도 가로챈 세션을 이용해서 공격자가 원래의 클라이언트인 것처럼 위장하여 서버의 자원이나 데이터를 무단으로 사용합니다.

TCP 3-Way-HandShake 과정에 끼어듦으로써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동기화된 시퀀스 번호를 가로채 서버에 무단으로 접근하는 TCP 세션 하이재킹이 대표적입니다.

 

ARP Spoofing
ARP(ARP는 IP 주소를 가지고 물리적인 주소인 MAC Address 로 변환해주는 주소 분석 프로토콜 의미)의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 기법으로, 자신의 물리적 주소 (MAC)를 공격대상의 것으로 변조하여 공격 대상에게 도달해야 하는 데이터 패킷을 가로채거나 방해함 

 

 

스미싱 Smishing
문자 메시지 SMS를 이용해 사용자의 개인 신용 정보를 빼내는 수법

 

타이포스쿼팅 Typosquatting
네티즌들이 사이트에 접속할 때 주소를 잘못 입력하거나 철자를 빠뜨리는 실수를 이용하기 위해 이와 유사한 유명 도메인을 미리 등록하는 일로, URL 하이재킹 (Hijacking)이라고도 함. 

 

APT Advaned Persistent Threats, 지능형 지속 위혐
다양한 IT 기술과 방식들을 이용해 조직적으로 특정 기업이나 조직 네트워크에 침투해 활동 거점을 마련한 뒤 때를 기다리면서 보안을 무력화시키고 정보를 수집한 다음 외부로 빼돌리는 형태의 공격 

 

무작위 대입 공격 Brute Force Attack
암호화된 문서의 암호키를 찾아내기 위해 적용 가능한 모든 값을 대입하여 공격하는 방식

 

큐싱 Qshing
QR 코드를 통해 악성 앱의 다운로드를 유도하거나 악성 프로그램을 설치하도록 하는 금융사기 기법

 

SQL 삽입(Injection) 공격
전문 스캐너 프로그램 혹은 봇넷 등을 이용해서 웹사이트를 무차별적으로 공격하는 과정에서 취약한 사이트가 발견되면 데이터베이스 등의 데이터를 조작하는 일련의 공격 방식을 의미합니다.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 (XSS; Cross Site Scripting)
네트워크를 통한 컴퓨터 보안 공격의 하나로, 웹 페이지의 내용을 사용자 브라우저에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크립트의 취약점을 악용한 해킹 기법 

 

스니핑 Sniffing
네트워크의 중간에서 남의 패킷 정보를 도청하는 해킹 유형의 하나로 수동적 공격에 해당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