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SM 방식은 네트워크를 똑같은 크기로 똑같이 나눠주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3개의 Subnet 으로 나누라고 했는데, 똑같은 크기로 IP 를 나누어주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IP 를 나누어줄 때는 칼로 반씩 계속 자른다고 이해하면 쉬운데요. 칼로 한 번 자르면 2개의 덩어리가 나오니까 3개의 Subnet 에게 나누어줄 수가 없습니다. 그렇다고 칼로 5번 잘라서 32 조각으로 만드는 것은 너무 비효율적이죠. 그래서 칼로 2번 잘라서 4조각으로 만든 다음 각각 한 조각 씩 나누어 주고 나머지 한 조각은 남는 것으로 처리하면 됩니다. 만약 9개로 Subnet 으로 나누어 줘야 한다고 했다면? 칼로 4번 썰어서 16조각으로 만드는 것이 최선인 상황이 됩니다. 칼로 자른 다음 나누어주고 남은 것은 사용하지 않고 그냥 가지고 있는 상태가 됩니다. 지금 문제에서는 2번 칼로 썰어서 4개로 나눈 다음에 3개의 Subnet 에게 각각 하나씩 나누어주고 나머지 한개는 그냥 사용하지 않고 가지고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죠.
현재 네트워크 주소는 192.168.1.0/24 로 표현되어 있는데요. 현재는 사람이 이해하기 쉽도록 10진수로 표현되어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원래 모든 IP 주소는 2진수로 되어 있는데요. 위에서 192.168.1.0 이 바로 IP 주소이고 /24 로 표현되어 있는 것이 서브넷 마스크입니다. 서브넷 마스크라는 것을 쓸 수 있는지, 어떤 것은 쓸 수 없는지를 표현한 것인데요. IP 주소에서 사용 가능한 것은 0 으로 표현하고 사용 불가능 한 것은 1로 표현하는데요. 원래 IP는 전체 32 Bit 로 표현되는데요. 32 Bit 는 너무 숫자가 커지고 길어지니까 8 Bit 씩 잘라서 중간 중간에 점을 찍어서 4개의 덩어리로 표현한 것이 IPV4 라는 주소입니다. 32 개의 비트 중에서 24 개의 비트를 쓰지 말라고 설명하는 것이 바로 /24 서브넷 마스크입니다.
서브넷 마스크 까지 이해했다면 이제 문제에서 주어진 IP 주소를 2진수로 표현할 차례입니다. IP 주소를 2진수로 표현한 것과 SubnetMask 를 2진수로 표현한 것인데요. 아까 뭐라고 그랬죠? 1은 사용 불가능한 것을 의미한다고 했습니다. 결국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IP 주소는 마지막 한 덩어리 밖에 없는 상태인 것이죠.
SubnetMask 주소를 10진수로 다시 고치게 되면 위와 같은데요. Subnet Mask 의 10진수 주소 값이 255라는 것은 내가 임의로 수정하여 사용할 수 없는 IP 주소임을 의미합니다. 마찬가지로 마지막 한 덩어리만 사용자가 임의로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즉 "0~255" 까지 총 256개의 IP 주소를 사용자 마음대로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게됩니다.
우리는 현재 3개의 Subnet 으로 나누어주어야 하는데요. 현재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IP 주소는 0~255입니다. 칼을 2번 사용해서 4개의 덩어리로 나누어야 합니다. 이렇게 칼을 써야하는 상황이 오면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IP 주소 중에서 앞에서 부터 차례대로 한 bit 씩 사용하면서 구분을 해주기 시작합니다. 즉 위에서 보는 것처럼 마지막 8비트 중에서 앞 2개의 Bit 가 1로 채워지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최종적으로 우리가 각 Subnet 마다 사용할 수 있는 Bit 는 6비트가 됩니다.
2의 6승은 64입니다. 즉 우리는 총 4개의 등분으로 나누었는데, 각각 64개가 배당이 되고, 총 4개의 영역에 64개가 할당되니까 256개가 할당되게 됩니다.
여기까지의 정보를 기준으로 IP주소를 작성하면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배정되는 IP 주소들
1) 192.168.1.0 ~ 192.168.1.63
2) 192.168.1.64 ~ 192.168.1.127
3) 192.168.1.128 ~ 192.168.1.191
4) 192.168.1.192 ~ 192.168.1.255
첫 번째 네트워크에서 첫 번째 IP는 192.168.1.0 이 되는 겁니다. 두 번째 네트워크에서 첫 번째 IP는 192.168.1.64 이고요. 세 번째, 네 번째도 각가 첫 번째 IP가 있습니다. 이렇게 배정되는 IP 주소들의 첫 번째 IP 들은 네트워크를 대표하는 IP로 빼갑니다. 또한 각 IP 주소들의 마지막 IP 주소들은 BroadCast 주소로 자동으로 배정됩니다.
또한, 이렇게 네트워크 주소와 BroadCast 주소는 실제 사용 IP 주소가 아니기 때문에 이 두 개를 뺀 것이 최종적으로 각 네트워크에서 할당 가능한 네트워크가 됩니다. 즉 첫 번째 네트워크는 192.168.1.1 ~ 192.168.1.62 까지가 실질적으로 사용가능한 네트워크가 됩니다.
아무튼 정답은, 두 번째 네트워크의 브로드캐스트 IP 주소를 10진수 방식으로 쓰면 192.168.1.127 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