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GitHub 와 GITLab 홈페이지에서 먼저 회원가입을 한 이후에 로그인을 합니다.
- Github 의 경우에는 오른쪽 상단에 있는 New repository 버튼을 이용하거나 좌측에 있는 네비게이션 바를 이용하면 됩니다.
- GITLab 에서는 New project 라는 버튼을 통해서 새로운 저장소를 만들 수 있습니다.
- public 은 공개 저장소이고 private 은 비공개 저장소입니다.
- private 을 선택하게 되면 github 에서는 만원이 되지 않는 비용을 한 달에 지불해야지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이렇게 저장소를 만드는 방법을 자세하게 살펴보았기 때문에 다른 저장소 서비스를 이용하더라도 쉽게 활용할 수 있을 겁니다.
'[생활코딩] 형상관리 > GIT3 Backup'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원격저장소와 연결 (0) | 2023.06.04 |
---|---|
5. 공부의 방향 (0) | 2023.06.04 |
3. git hosting 선택 (0) | 2023.06.04 |
2. 수업의 목표와 용어정리 (0) | 2023.06.04 |
1. GIT3 Backup 수업소개 (0) | 2023.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