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핵심 Keyword
1. 스키마 Schema
2. 외부 스키마, 개념 스키마, 내부 스키마
스키마 Schema
스키마 Schema 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 조건에 관한 전반적인 명세(Specification)를 기술(Description)한 메타데이터(Meta-Data)의 집합입니다. 메타데이터란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라고 이야기할 수 있는데, 예를들어 특정 속성에 대한 제약조건은 특정한 데이터에 대한 조건을 담은 데이터라고 이야기할 수 있고 이런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를 메타데이터라고 합니다.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개체(Entity), 속성(Attribute), 관계(Relationship) 및 데이터 조작 시 데이터 값들이 갖는 제약 조건 등에 관해 전반적으로 정의합니다. 스키마는 사용자의 관점에 따라 외부 스키마, 개념 스키마, 내부 스키마로 크게 3가지로 나뉘어집니다.
외부 스키마
외부 스키마는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가 각 개인의 입장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정의한 것입니다.
개념 스키마
개념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논리적 구조로서, 모든 응용 프로그램이나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종합한 조직 전체의 데이터베이스로, 하나만 존재합니다. 외부 스키마라는 것이 예를 들어 쇼핑몰에서 상품을 주문했을 때, 내가 주문한 상품만 보이게 되는 것이였다면, 개념 스키마는 전체적인 논리적 구조를 의미하는데, 쇼핑몰을 운영하는 직원들이 보게 되는 하나의 조직 전체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전체적인 논리적 구조'라고 합니다. 개체 간의 관계와 제약 조건을 나타내고, 데이터베이스의 접근 권한, 보안 및 무결성 규칙에 관한 명세를 정의하고 있습니다.
내부 스키마
물리적 저장장치의 입장에서 본 데이터베이스 구조로서, 실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레코드의 형식을 정의하고 저장 데이터 항목의 표현 방법입니다. 내부 레콛의 물리적 순서 등을 나타냅니다.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행제어 (Concurrency Control) (0) | 2023.10.05 |
---|---|
스케줄링 기법 (1) | 2023.10.05 |
2501105 TCP IP (1) | 2023.10.04 |
340261 화이트박스 테스트의 검증 기준 (0) | 2023.10.03 |
1450604 정규형 (0) | 2023.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