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완전 함수적 종속, 부분 함수적 종속, 이행적 함수적 종속(Transitive Fucntional Dependency)
함수적 종속 Functional Dependency
주의사항! 문제를 잘 읽어보면, 보기에서 찾아 기호로 쓰시오. 라는 문구가 있습니다. 답을 기호로 안적고 Full 이런 식으로 적으면 오답 처리가 되겠습니다... ㅠㅠ
함수적 종속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완전 함수적 종속, 부분 함수적 종속, 이행적 함수적 종속으로 3가지입니다. 3가지에 대해서 나온 문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R 이라는 테이블에서는 밑줄로 쳐져있는 학생과 학과를 묶어서 기본키로 사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런 키를 보고 우리는 '복합키'라고 부릅니다.
성적 이라는 속성은 기본키인 학생과 학과라는 복합키에 대해 어떤 함수적 종속을 갖고 있는 것일까요? 우선, 학생이라는 이름만으로 성적을 알아낼 수 있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이순신이라는 이름을 가진 학생은 2개의 성적을 갖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특정한 튜플의 성적을 특정 짓기 위해서는 학생과 학과라는 복합키가 필요합니다. 이렇게 속성이 키들 모두가 있어야 특정지을 수 있을 때 우리는 '완전 함수적 종속'이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완전 함수적 종속은 영어로 'Full Functional Dependency' 라고 하고, 정답으로는 기호로 적으라고 했으므로 ㄹ 을 적어주어야 합니다.
'학년' 이라는 속성은 기본키인 학생과 학과 중에서 '학생' 만으로 식별이 가능하므로 기본키에 대해 '부분 함수적 종속' 이므로 영어로 'Partial Fuctional Dependency' 라고 하며, 기호를 적으라고 했으므로 ㅇ를 적어주어야 합니다.
임의의 테이블에 속성 A, B, C 에 대해 A -> B, B -> C 일 때 A -> C 인 관계를 우리는 '이행적 함수적 종속'이라고 하며 영어로는 'Transitive Functional Dependency' 라고 부르며, 기호를 적으라고 했으므로 ㄷ 을 적어주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