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컴퓨터] Server/JAVA(기본)

조건문 {정의, if, if-else, if-'else if'-else 문, 조건 연산자, Switch-case문}

Ben의 프로그램 2023. 5. 12. 09:40
728x90

조건문이란?

  • 조건문이란 말 그대로 주어진 조건에 따라 다른 문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하는 것을 말합니다. 
  • 기본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if (조건) { 참일 때 결과 } else { 거짓일 때 결과 } 

if 문과 if-else 문

  • if 문은 조건문의 가장 대표적인 형식입니다.
  • if 문은 주어진 조건식이 '참'일 경우 중괄호 안에 있는 문장을 수행합니다.
if (조건식) {
	수행문;
}
  • 조건식에는 결과가 참, 거짓으로 판별되는 식 혹은 참, 거짓의 값을 가지는 변수&상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조건식에는 연산의 결과가 참, 거짓이 되는 관계 연산자를 자주 사용합니다.
  • 조건식을 만족하는 경우와 만족하지 않는 경우를 모두 나타낼 때는 if-else 문을 사용합니다.
if (조건식) {
	수행문1; // 조건식이 참일 경우 이 문장을 수행
} else {
	수행문2 ; // 조건식이 거짓일 경우 이 문장을 수행
}
  • 순서도는 if-else문을 간단한 그림으로 표현한 것을 의미합니다.순서도는 프로그램의 논리 흐름을 순서대로 그림으로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순서도는 프로그램을 막상 작성하려니 막막함을 느낄 때 자신이 구현하려는 것을 순서도로 작성하면서 손코딩을 해볼 수 있습니다. 손코딩을 하다 보면 구현하려는 프로그램에 필요한 변수와 흐름이 정리됩니다.

if-else if-else 문

  • 지금까지는 어떤 상황에서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살펴봤습니다. 그러나 하나의 상황에서 조건이 여러개인 경우 if-else if-else 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if (조건식1) {
	수행문1; // 조건식1이 참일 경우에 수행함
} else if (조건식2) {
	수행문2; // 조건식2가 참일 경우에 수행함
} else if (조건식3) {
	수행문3; // 조건식3이 참일 경우에 수행함
} else {
	수행문4; // 위의 조건이 모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수행함
}
수행문5; // if-else if-else 문이 끝난 후 수행함
  • 그런데 if 문을 반복해서 표현해도 결과 값은 똑같을 까요? 결론부터 말하면 결과는 다르게 출력됩니다. 조건식 1을 만족하지 않고 조건식 2를 만족하는 상황을 if 문 만을 사용하면 표현할 수 없습니다. 

조건문과 조건 연산자

  • 앞 포스팅에서 배운 조건 연산자(? :)로도 if-else 문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if (a > b) {
	max = a;
} else {
	max = b;
}

위의 if-else 문을 조건 연산자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이 한 줄로 표현 가능하다
max = (a > b) ? a : b;
  • 둘 다 장단점이 있지만 보통 if else 문이 가독성이 좋기 때문에 자주 사용합니다. 다만 조건 연산자는 아주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으므로 간혹 사용하기도 합니다.

Switch-case 문

  • 조건문을 구현할 때 if 문을 사용하면 번거로운 경우가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조건이 많은 경우에 특히 그렇습니다.
  • 어떤 경우에 switch-case 문을 사용할까요? 주로 조건이 하나의 변수 값이나 상수 값으로 구분되는 경우 사용합니다.
  • switch 문에서 조건으로 실수형 데이터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float).
  • switch 문에서 break 문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case 가 조건에 해당하는 순간 이후의 모든 코드가 실행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원하는 결과가 출력되지 않습니다.
if (조건식1) {
	수행문1;
} else if(조건식2) {
	수행문2;
} else if(조건식3) {
	수행문3;
} else {
	수행문4;
}

Switch(조건) {
    case 값1 : 수행문1;
        	break;
    case 값2 : 수행문2;
 		break;
    case 값3 : 수행문3;
 		break;
    default : 수행문4;
}

case문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매월 마지막 날짜를 출력하는 case문을 만들어야 한다면
switch(month) {
	case 1 : day = 31;
    	break;
    case 2 : day = 28;
    ...
    case 12 : day = 31;
    	break;
}
  • 이 경우에 1월, 3월, 5월, 7월은 모두 day = 31; 값을 가집니다. 이런 경우에 case문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case 1 : case 3 : case 5 : case 7 : ... case 12 : day = 31;

switch-case 문에서 break 문의 역할?

switch(month) {
	case 1 : day = 31;
    case 2 : day = 28;
    ...
    case 12 : day = 31;
}
  • break 문은 switch-case 문의 수행을 멈추고 빠져나가도록 만듭니다. 위와 같이 break 문을 사용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 모든 case 가 day = 31; 이 대입됩니다. 왜냐하면 중간에 빠져나가지 않고 모든 case 가 실행되어 마지막 case 12 가 최종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입니다. switch-case 문에서는 조건에 맞는 수행문을 수행한 후에 switch-case 문을 빠져나올 수 있도록 break 문을 꼭 사용해야 합니다.

case문에 문자열 사용

  • 자바 7부터는 switch-case 문의 case 값에 정수 값뿐만 아니라 문자열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문자열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equals 라는 메서드를 사용해야 했습니다.
if (medal.equals("Gold")) {
...
}
  • 하지만 문자열을 직접 case문에 사용할 수 있게 된 자바 7 부터는 프로그램을 좀 더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switch(medal) {
	case "Gold" : System.out.println("금메달");
    	break;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