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코딩] Server/JAVA1(기초)

생활코딩 JAVA 1_Java의 동작원리

Ben의 프로그램 2023. 4. 27. 20:12
728x90

※ 본 포스팅은 생활코딩 이고잉님의 강의를 공부한 후 개인적인 학습목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생활코딩에서 더 자세하고 정확한 정보를 얻으시려는 분들은 아래 참고자료를 확인해주세요. 

 

이전 시간에 우리가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방법을 경험적으로 살펴보았다면 우리가 이론적으로 정리를 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우리가 이런 지난 시간에 이런 문구를 적었습니다. 어떤 문구인지는 모르지만 이런 희망이 담겨있습니다. 컴퓨터 화면에 문구를 출력하고 싶다라는 것이고 우리는 그것을 해냈습니다. 이 두가지를 반으로 딱 쪼개면 프로그램을 나누는 2가지가 나옵니다.

우선 원인을 나타내는 Source가 있습니다. 그리고 부호라는 의미로 Code라는 표현도 많이 쓰고요. 그리고 우리 마음대로 저렇게 한다고 저런 결과를 만들어내지 않죠. 그래서 약속이라는 뜻에서 언어의 뜻으로 Language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즉 Source, Code, Language는 같은 대상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서 다르게 부르는 것일 뿐입니다. 그렇게 만들어진 결과를 부르는 표현으로는 첫 번째, 애플리케이션이있습니다. application, 줄여서 앱 App이라고 부르죠. 그리고 program이라고도 부르는데 이것도 마찬가지로 같은 대상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서 다르게 부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원인을부르는 Source, Code, Language결과를 부르는 application, program이라고 하는 표현이 있는 겁니다. 우리는 자바라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에 문법에 맞게 코드를 작성해서 우리가 컴퓨터에게 시키고 싶은 일을 시키는 것이 우리가 하고자하는 일이라는 것을 기억해주면 좋겠습니다.

이것을 염두에 두고, 자바가 동작하는 원리에 대해서 한번 살펴보도록 합시다. 우선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가 있겠죠. 그리고 우리는 그 컴퓨터에 JDK라는 것을 설치했습니다. JDK안에는 여러가지 프로그램들이 있는데, 그 중에서 핵심적으로 Java Virtual Machine이라는 것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우리가 작성하고 싶은 프로그램인 확장자가 java인 소스코드를 작성했습니다. 이것을 우리는 java라는 컴퓨터 언어에 맞게 작성된 소스코드라고 부릅니다. 이것은 사람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기계는 저것을 직접적으로 이해할 수 없습니다. 기계가 저 확장자가 java인 파일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전환하는 작업을 해야하는데 그것을 Compile이라는 작업이라고 합니다. eclipse에서는 소스코드를 작성하고 저장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class라는 파일이 만들어지는데 그 파일이 바로 Java application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나서 우리가 eclipse 에서 run 버튼을 클릭하면 eclipse는 Java Virtual Machine에게 대신해서 시키는 겁니다. .java 대신 .class라는 파일을 실행하라고 하면 Java Virtual Machine이 컴퓨터를 동작시키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Java가 작동하는 전체적인 흐름입니다. 이렇게 해서 Java라는 프로그램이 어떻게 돌아가는가를 설명했는데, 한번에 이해하기는 어렵습니다. 앞으로 경험적으로 이해해나가게 될 겁니다. 뒤에서 한 번 더 정리를 해드릴겁니다. 축하드립니다.


Self Question

1. 


참고자료 및 원본 : 오픈튜토리얼스 생활코딩 (이고잉 님)
- 생활코딩 JAVA 입문 수업 : https://opentutorials.org/course/3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