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이전 포스팅에서는 하나의 파일을 버전으로 만들었습니다. 우리가 보통 하나의 작업이 여러개의 파일의 수정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여러 개의 파일을 버전으로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hello2.txt 파일을 만든 후 안에 3이라는 데이터를 넣어주었습니다.
git status
명령을 통해 git 상태를 확인해 보면 다음과 같이 메시지가 나오게 됩니다.
hello2.txt 는 아직 한 번도 버전관리를 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Untracked 상태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git 은 저 파일을 없는 셈으로 치기 때문에 git에게 관리를 시켜야 합니다.
git add hello2.txt
git add hello2.txt 명령으로 Staging Area로 올려둡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이 한가지 있는데, 여러분이 만약 다른 사람들과 협업을 할 때 공유하고 싶지 않은 파일이 있다면 Untracked 상태로 두면 된다는 것입니다. git 은 모든 파일을 자동으로 관리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자 아무튼, hello1.txt 파일을 열어서 2-1 이라는 데이터로 수정을 해 준 다음에 한 번에 버전으로 만들어보겠습니다. 지금 git status 상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hello2.txt 라는 새로운 파일이 버전 관리 시스템에 추가되었고, hello1.txt 파일은 수정사항이 있는데, Staged 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버전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Staging Area에 모두 한 번에 올라가 있어야 합니다.
git add hello1.txt
git add hello2.txt
버전으로 만들고자 하는 파일들을 모두 Staging Area에 올리고 나면 git status가 다음과 같이 출력됩니다.
즉, 이미 버전 관리가 되고 있는 파일이건 새로 추가된 파일이건 버전으로 같이 만들기 위해서는 함께 Staging Area 에 올라가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git commit -m "Message 3"
git commit -m "Message 3" 로 Staging Area에 올라가 있는 모든 파일들을 버전으로 만들고 나면 git status 는 이제 다음과 같이 출력되게 됩니다.
그리고
git log
git log를 하면 Message 3 버전이 함께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각각의 버전마다 어떤 파일들이 수정되었는지 알 수가 없네요. 이런 경우에는 검색을 통해서 알아내면 됩니다.
구글에 git log files 라고 검색하고 제일 위에 있는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보니까 어떤 고마운 분이 상세하게 설명을 해주셨네요. 이처럼 우리가 모든 것을 알고 있을 필요는 없습니다. 이용해서 해보죠.
git log --name-only
git log --name-status
git log --stat
어떤 파일이 수정되었는지 버전마다 자세하게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여러 개의 파일들의 수정사항을 버전으로 아주 손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것은 파일이나 폴더의 이름을 바꾸는 방식의 버전관리로는 얻기 매운 힘든 효용성입니다. 자 이렇게 해서 우리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의 버전으로 만드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출처 : https://opentutorials.org/course/3839
'[생활코딩] 형상관리 > GIT2 CLI'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2 - checkout 과 시간여행 (0) | 2023.05.10 |
---|---|
GIT2 - 버전 간의 차이점 비교 (0) | 2023.05.10 |
GIT2 - 버전 관리 시작하기 & 버전 만들기 (1) | 2023.05.10 |
GIT2 - 설치 (0) | 2023.05.09 |
GIT2 - 수업소개 (0) | 2023.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