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Ben의 프로그램 2023. 7. 2. 17:46
728x90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2차원적인 표(Table)를 이용해서 데이터 상호 관계를 정의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1970년 IBM에 근무하던 E.F. Codd 가 처음 제안하였다. 

    개체 Entity와 관계 Relationship를 모두 릴레이션(Relation)이라는 표(Table)로 표현하기 때문에 개체를 표현하는 개체 릴레이션과 관계를 표현하는 관계 릴레이션이 존재한다. 
  • 장점 : 간결하고 보기 편리하며, 다른 데이터베이스로의 변환이 용이하다.
  • 단점 : 성능이 떨어진다. 
  • 구조 : 릴레이션으로 데이터가 표현된다. 릴레이션이란 데이터들을 표 Table 형태로 표현한 것으로 릴레이션 스키마(속성)와 릴레이션 인스턴스(튜플)로 구성된다. 

튜플 

  • 튜플 ?

    Tuple 튜플은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각각의 행을 말한다.
    튜플은 속성의 모임으로 구성 됨.

    튜플의 수를 Cardinality 라고 한다. 

속성

  • 속성 ?

    Attribute 속성은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이다. 
    속성은 개체의 특성을 기술한다. 
    속성의 수를 Degree 혹은 차수라고 한다. 

도메인 

  • 도메인 ?

    도메인 Domain 은 하나의 속성이 가질 수 있는 원자 값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도메인은 속성에 적합한 값이 들어왔는지 검사하는데에도 이용된다.

릴레이션 특징 

  • 한 릴레이션에는 완전 동일한 튜플이 포함될 수 없다. = 튜플은 모두 상이하다
  • 튜플, 속성에는 순서가 없다.
  • 속성은 중복이 불가능하지만 속성 값은 중복이 가능하다. (속성 하나에서 중복이 가능하다는 거지 튜플 자체 중복 가능은 불가능함)
  •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튜플들을 식별할 수 있는 속성들의 부분집합을 키 key 로 설정하게 된다. 
  • 속성의 값은 원자값만을 저장한다. (1N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