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유형 1. 영문 Full-name
- 영문 Full Name 으로 작성하라는 조건이 제시되면 반드시 답안을 영문 Full name 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대소문자는 구분하지 않으나, 스펠링에 유의하여 답안을 작성해야 한다.
유형 2. 영문 약어
- 영문 약어는 영어 줄임말로 작성하라는 뜻인데, 한글로 작성하거나 영문 Full name 으로 작성하면 오답으로 처리될 수도 있으니 주의합니다.
유형 3. 작성 조건이 제시되지 않은 경우
- 한글, 영문 약어, 영문 Full name 어떤 것으로 답안을 작성하여도 상관은 없으나 한글, 영문 약어가 오류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유리한 측면이 있다.
유형 4. 제시된 답안 수량이 있는 경우
- A 개념의 특징 2가지를 쓰시오. 라는 질문이 있다면 답안으로 2개만 작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3개를 쓰면 3개 중 2개가 맞으면 정답이 아니라 3개가 다 맞아야 정답으로 처리되기 때문이다.
유형 5. 서술식
- 서술식 답안을 적을 때는 키워드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답안으로 인정되기 위한 핵심 키워드가 없으면 답안으로 처리되지 않는다.
유형 6. 프로그램 실행 결과 작성
- 프로그램 실행 결과는 정말로 해당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출력되는 결과물을 그대로 작성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printf(%d\n, 10)
printf(%d\n, 20)
- 위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답안으로 작성하라고 한다면,
우리는 직관적으로 10,20 이렇게 답안을 적거나 10 20 으로 답안을 적기 마련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작성하면 부분점수 없이 오답 처리 됩니다.
10
20
이렇게 실제 프로그램이 출력할 결과 값을 그대로 작성하여야 답안으로 처리됩니다.
유형 7. 올바른 변수명 입력하기
- 빈칸에 들어가는 변수명이 Age 인 문제가 있다고 해보자.
해당 답은 age 로 적으면 오답 처리된다.
프로그램 상에서 Age 라는 변수와 age 라는 변수는 전혀 별개의 변수일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처리하는 것으로 보인다.
유형 8. 배열 및 요소 예측
Arraylist list = {1, 2, 3, 4, 5};
for i in range(5) {
print( ( ) )
}
- 괄호에 들어가는 알맞은 답은? 이라는 문제가 있다고 해보자.
배열의 요소를 추출하는 과정이니까 list[i] 이렇게 작성하면 되는데, 문제는 list(i) list{i} 이런 식으로 적는 수험생들이 있을 수 있다. 이는 전혀 다른 코드다. 당연히 오답 처리되므로 주의하자.
유형 9. SQL 문 작성하기
-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SQL 문을 작성하세요. 라는 질문이 있다고 해보자.
SQL 은 흔히 대문자로 작성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는 프로그램이 강제하는 것이 아니다. 실제로 DB 프로그램들은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 따라서 답변도 대소문자로 인해 오답을 처리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스펠링은 당연히 주의하여야 한다.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요구사항 확인_05 요구사항 정의 (0) | 2023.06.29 |
---|---|
1. 요구사항 확인_04 개발 기술 환경 파악 (0) | 2023.06.29 |
01. 요구사항 확인_03 XP 기법 (0) | 2023.06.29 |
1. 요구사항 확인_02 스크럼 기법 (0) | 2023.06.29 |
1.요구사항 확인_01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0) | 2023.06.29 |